본문내용 바로가기

LS엠트론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미국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등록일 : 2024.12.22

미국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 견조한 자동차 시장과 자동차 노화로 인한 부품 시장 안정화 전망

- 온라인 부품 시장의 성장세

- 기술과 정책 변화에 따른 우리 기업들의 유연한 대처가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8708.29는 승용차와 트랙터, 10인 이상 운송용 자동차, 물품 운송용 자동차 등의 차체 부품 및 액세서리 등을 포함한다.

시장 규모 및 동향

2024년 미국 자동차 부품 제조사의 주요 시장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완성차 제조업체가 52.2%로 가장 높고, 도매 및 유통업체(35.3%)와 애프터마켓(12.5%)이 뒤를 잇는다. 이처럼, 자동차 부품 시장은 완성차 업체의 수요에 의존한다(IBIS World). 인플레이션과 높은 이자율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자동차 판매는 꾸준히 상승추세에 있다. 월별 판매량의 변화는 감소와 증가를 오르락내리락하는 변동을 보여왔으나 최근 10월 미국 자동차 판매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약 11% 성장한 131만5000대에 달했다. 전기차 구매자를 위한 프로모션이 늘고 있으며 내년도 신모델 출시에 따른 상승으로 분석된다. 2024년 자동차 누적 판매 수는 전년과 비슷한 상승세를 보이며 10월 현재까지 총 1170만대의 자동차 판매를 기록했다 (S&P Global Mobility). 견조한 자동차 판매 시장은 미국 차량 보유 대수 증가를 가져와 부품 시장 안정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미국에서 자동차를 구입할때 대부분의 중산층 소비자들은 대출을 받게 되는데, 높은 금리로 인해 자동차 구매를 망설이는 소비자들이 기존 자동차를 더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수리보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 결과, 자동차 수리점과 애프터마켓을 통한 자동차 부품 판매 시장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관리협회(Auto Care Association)에 따르면,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2023년 미국의 자동차 부품 애프터마켓 매출은 전년 대비 8.6% 성장한 3,910억 달러에 달했다. 딜러 서비스센터, 자동차 부품 매장, 일반 자동차 수리 부문 등 전 분야에서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의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평균 연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2000년에는 8.9년이었던 연식이 2023년에는 12.5년으로 크게 늘었다. 오래된 차량은 잦은 수리와 유지보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미국 애프터마켓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2024년 애프터마켓 매출은 5.9% 성장할 전망이며, 2025년부터는 인플레이션 효과가 진정되면서 연평균 4.5%의 성장률을 늘어나 2027년에는 약 4,729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Auto Care Association).

한편, 비용절감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DIY 부품 수요가 늘면서 전자 상거래를 통한 자동차 부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글로벌 기술연구 및 자문회사인 Technavio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한 자동차 부품의 소매 판매량이 오프라인 판매를 넘어서고 있다. 온라인 구매는 소비자들이 부품에 대해 상세히 조사할 수 있고, 다양한 제품의 가격을 비교할 수 있게 해준다. 온라인 플랫폼은 주문하는 품목의 제조연도, 제조회사, 모델, 호환성 여부, 부품 적합성 등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전자 상거래의 위험 요인을 없애고 있다. 미국에서 인기 있는 온라인 판매 품목으로는 브레이크 부품, 필터, 조명부품, 타이어, 윤활유, 배터리 등이 있다. 부품 회사 입장에서도 온라인 판매는 소비 데이터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니즈를 더 잘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제조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고 있어 자동차 부품의 온라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 부품 온라인 마켓의 선두는 오랫동안 이베이 모터스(eBay Motors)가 이끌어왔다. 자동차 부품과 액세서리 뿐만 아니라 완성차도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인 이베이 모터스는 제조업체와 유통사 그리고 개인 판매자들이 신품 및 중고 부품을 판매하고 있다. 자동차 부품의 온라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자, 아마존은 지난 2023년 2월 아마존 OEM 부품 스토어를 출시했다. GM, 스텔란티스, BMW, 야마하 등의 OEM을 포함해 여러 자동차 브랜드의 애프터마켓 교체 부품과 액세서리를 판매하고 있는데, 자동차 부품 분야의 2023년 4분기 소비자 지출을 살펴보면 아마존은 12.1%의 점유율을 차지했다(PYMNTS).

이처럼 자동차 부품의 온라인 시장이 늘어남에 따라, 전문 소매업체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다. 미국의 유명 자동차 부품 소매점 가운데 하나인 Advanced Auto Parts는 지난 11월 14일, 수요 부진으로 인해 2025년 중반까지 약 700여개 이상의 지점을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소매업체의 올해 3분기 매장 매출은 2.3%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Fox News).

미국 자동차 부품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중국과의 무역 갈등 심화와 제조업 니어쇼어링 정책의 혜택으로 멕시코로부터의 자동차 부품 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테슬라와 도요타 등 여러 완성차 제조업체들이 중국에서 멕시코로 이전하면서 부품 제조사들의 동반 이전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멕시코는 저렴한 노동력이 풍부하고 환경규제가 까다롭지 않아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어 수입 증가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은 미국 자동차 부품 수입의 8.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 기업들이 북미 지역에 완성차와 부품 제조 투자 진출을 활발하게 함에 따라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꾸준히 늘고 있다.

경쟁동향

미국의 부품 제조업체들은 특정 부품에 집중하고 전문화하는 경향을 보이며 부품별 세분화가 이뤄지고 있다. 그 결과 특정 제조업체가 지배적으로 시장을 주도하기 보다는 여러 업체가 각각의 특정 부품에서 경쟁하고 있는 양상이다. 미국의 주요 제조업체 4개 사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13.4%에 불과하다. 로버트 보쉬(Robert Bosch)는 독일기업으로 미국 제조업 가운데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나 전체 4.4%의 점유율에 해당한다. 2위 업체 덴소(Denso)는 일본계 회사로 로버트 보쉬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부품 제조와 도매를 수직 통합해 매출을 높이고 있다. 보그워너(Borgwarner)는 미시간에 본사를 둔 미국 기업으로 자동차 변속기를 비롯한 여러 부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MAHLE 또한 미국기업으로 자동차 엔진 및 부품 제조로 유명하다.

유통구조

부품 제조업체에서 생산된 상품들은 주로 완성차 업체로 납품되거나(52.2%), 도매상 및 관련 유통업체 (35.3%), 그리고 애프터마켓(12.5%)에 판매된다. 부품 제조업체는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것이 유통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수익성이 가장 높다. 소규모 부품 제조업체는 상품 주문 및 보관 배송을 담당해주는 도매업체와 유통업체 판매를 선호한다. 애프터마켓으로 판매된 부품은 소매점으로 유통되고 이 상점들을 통해서 자동차 정비소와 서비스 딜러샵, 바디샵, 개인 소비자들에게 유통된다. 미국의 전통적인 자동차 부품 대형 체인은 O'reilly Automotive, Autozone, Advance Auto Parts, Genuine Parts 등이 있는데, 최근 온라인 부품 마켓플레이스의 판매가 늘어나면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자동차 부품 유통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차량은 소비자가 직접 자가정비를 하기에 복잡하고 낯설기 때문에 정비 및 수리를 전문 정비사에게 맡기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전기차의 경우에는 정비업체와 완성차 서비스 샵의 부품 수요가 일반 소매점에 비해 더 많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관세율 및 규제

자동차 부품(HS 코드 8708.29 기준)의 수입 관세율은 한미 간 FTA 적용으로 0%이다.

자동차 부품은 다양한 품목이 포함되기 때문에, 각 상품에 따라 적용되는 규제가 매우 다양하다. 부품에 따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및 기타 연방 규정 등을 준수해야 한다. 예를 들어, NHTSA의 연방자동차 안전기준(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s)은 에어 브레이크와 어린이용 카시트에 관련한 규정 등을 명시하고 있으며, EPA의 국가 대기질 기준(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은 자동차 배기 시스템과 관련된 부품들의 규정을 명시한다. 이 외에도 대기오염 표준을 제시하는 기업평균 연비(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등 환경과 관련된 규제들이 더욱 강화되고 있어 우리 수출기업들은 품목별 해당 규제에 대한 사전 조사와 준수가 반드시 필요하다.

시사점

자동차 부품업체는 전기차와 자율주행 차량과 같은 새로운 시장에 주목하고 그에 맞는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전기차의 혁신으로 자동차 부품이 간소화되면서 특정 부품 제조는 사라지고 새로운 자동차 부품 시장이 떠오르기도 했다. 예를 들어 전기차에는 배기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배기장치 관련 시장의 수요감소 가능성이 대두됐다. 이와 같은 수요와 기술변화에 부품 업체들은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제품군 다각화 전략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 부품 업체들의 판매경로 다각화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온라인 부품 시장은 당분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이기 때문에 새로운 유통경로 방법으로 고려해 볼만하다. 예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지만 현재는 자동차, 골드바, 주택마저도 온라인으로 거래가 되고 있는 세상이다. 이베이와 아마존 등 주요 온라인 업체가 자동차 부품 전문 플랫폼 시장에 뛰어들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새로운 시장에 눈을 돌려보는 것도 좋겠다.

최근 치러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트럼프 집권이 확정됐고, 전기차 정책 수정이 예고되면서 관련 제조 및 부품 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와 보편관세 부과로 우리 기업들의 수출 감소 우려 등이 대두됐다. 동시에 트럼프 정부의 강력한 중국 견제 정책으로 대중 관세 60% 부과 시 한국 부품에 대한 반사이익 가능성도 함께 상존한다. 이처럼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시장 예측이 어려운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은 정책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조직 구조 및 전략 수립에 집중하는 것도 필요하다.

* 출처: Auto Care Association, Bureau of Transportation Statistics, Consumer Affairs, Fox News, Global Trade Atlas, IBIS World, Marklines, MSN, PYMNTS, S&P Global Mobility, KOTRA 애틀랜타 무역관 자료 종합

* 편집: 핸들러전문지

PREV

이전으로 이동

NEXT

다음으로 이동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