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LS엠트론의 새로운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UAE 플라스틱 생활용품 시장동향

등록일 : 2024.11.24

UAE 플라스틱 생활용품 시장동향

- 2024년, UAE 주방용품 지출 규모 약 8억2000만 달러 규모로 예상

- UAE 외국인 비중 88% 이상, 단기 체류하는 경향이 많아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인 플라스틱 제품 선호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플라스틱 생활용품(식탁용품, 주방용품 등)

HS Code: 3924.10

시장동향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Euromonitor에 따르면, UAE 소비자의 주방용품 지출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8억2000만 달러 규모로 예상되며, 지난해 대비 약 1.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4년부터 2026년까지 UAE 주방용품 시장은 연평균 1.2%씩 성장해 8억400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UAE 주방용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최근 급격한 인구 증가,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변화, 전자상거래의 확장과 더불어 최근 홈 파티 문화의 확산 등이 플라스틱 주방용품 시장 성장의 주요 동력이 되고 있다.

UAE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인 거주자와 중산층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수요 역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외국인 거주자들은 단기 체류하는 경향이 많아, 간편하면서도 경제적인 플라스틱 제품을 선호성이 강하다. 경제 성장으로 인한 가처분 소득 증가도 가정 내 소비를 촉진하고 있으며, 실용성과 경제성을 모두 갖춘 플라스틱 생활용품이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홈파티와 같은 사교 모임 등으로 더욱 두드러지며, 파티 테마에 맞춘 다양한 색상의 플라스틱 식기나 용품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일회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을 갖춘 플라스틱 제품은 깨지기 쉬운 유리나 도자기 제품보다 안전하면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 가족과 친구들이 모이는 자리에서 활용도가 높다. 최근에는 미적 감각을 살린 프리미엄 플라스틱 제품들이 출시되며 홈 인테리어와의 조화로운 연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 가능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에게도 어필하고 있다.

수입동향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3년 UAE 플라스틱 생활용품(HS Code 3924.10) 시장은 약 2억3405만 달러 규모며, 2022년 약 2억1366만 달러였던 데 비해 9.5% 증가했다. 2023년 국가별 수입 현황 중 1위는 1억4259만 달러를 기록한 중국으로, 독보적인 수입액을 기록함과 동시에 UAE 전체 수입액의 60.9%를 차지했다.

뒤이어 인도에서의 수입이 1338만 달러(약 5.7%), 태국에서의 수입이 622만 달러(약 2.7%)를 기록했다. 태국의 경우 2021년까지는 수입 규모가 크지 않았으나, 최근 꾸준한 증가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지난해 대비 48.5% 증가했다. 대한 수입은 2023년 기준 130만 달러로 전체 수입의 약 0.6%를 차지하며 UAE 수입 시장 점유율 13위를 기록했다.

경쟁 동향

UAE 플라스틱 생활용품 시장 내 상위 점유율을 보이는 브랜드는 미국의 터퍼웨어(Tupperware)와 루버메이드(Rubbermaid)로, 넓은 유통망, 다양한 제품 구성, 합리적인 가격 등을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보통 플라스틱 밀폐용기, 컵, 조리기구 구성으로 묶음 판매를 하고 있으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로 형성돼 있어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은 편이다.

유통구조

UAE 국외 기업의 경우 현지 유통사와 파트너십 계약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유통과정이다. 보통 현지 파트너사의 보유 거래처를 토대로 유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입업체 선정 시 기업의 주요 유통채널, 담당자의 적극성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한번 계약을 체결한 파트너사는 추후 계약 변경이 어렵고, 오랜 법정 소송을 겪어야 하므로 파트너 선정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현지 대형 유통사로는 까르푸(Carrefour), 아마존(Amazon), 눈(Noon), 룰루 하이퍼마켓(Lulu Hypermarket) 등이 있으며, 대형 쇼핑몰 내에 입점한 주방용품 전문 브랜드로는 홈 센터(Home Centre) 등이 있다.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3924.10 품목에 대한 UAE 수입 관세율은 GCC 관세협정에 따라 5%가 부과되며, 부가가치세 5%가 추가 적용된다.

아울러, 식품 보관 용기와 조리도구 등 식품 접촉 제품군(FCM, Food Contact Materials)의 경우 UAE 산업&첨단기술부(MoIAT, 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의 적합성 인증(ECAS) 취득 대상이다. 플라스틱(Plastic Materials), 유리(Glass Materials), 세라믹(Ceramic Materials), 실리콘(Silicon Materials), 종이(Paper Materials), 금속(Metal Materials)으로 제조된 제품은 반드시 수출 전 인증 취득 준비를 해야 하며, 적용 표준은 아래와 같다.

시사점

2024년 UAE는 여전히 제조업 기반이 약해 대다수의 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전체 인구의 약 88% 이상을 차지하는 외국인들은 본국에서 익숙한 브랜드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 브랜드 인지도와 친숙함이 제품 선택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과거에는 주로 유통사를 통해 대형 마트에 입점하는 전략이 성공의 주요 경로로 여겨졌지만, 2024년에는 온라인 쇼핑이 크게 활성화되면서 디지털 유통망이 중요한 경쟁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아마존 같은 온라인 플랫폼 입점을 통해 UAE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할 수 있으며, 우리 기업은 'Made in Korea' 제품 우수성을 강조하는 등 제품의 성능, 안정성 등의 차별성에 기반한 마케팅 활동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 출처: Euromonitor, 관세법령정보포털, Global Trade Atlas, Carrefour, TAVOLA, Ministry of Industry & Advanced Technology, KHIND, RACS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 편집: 핸들러전문지

NEXT

다음으로 이동
목록